“소아 해열제 복용하는 방법”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갑자기 열이 난다면 마음도 아프고 답답할 때가 있다.
이번 제주도 여행에도 여행 마지막 날 큰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나는 바람에 밤늦게 병원에 다녀올 수도 없는 상태라 아주 난감했었다.

보통 아이들과 함께 여행할 때는 해열제를 챙겨가는데, 교차복용을 위한 다른 해열제를 준비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굴렀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처럼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 소아 해열제를 어떻게 복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

해열제는 치료가 아닌 증상 개선 의약품

아주 간혹 해열제의 역할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시다. 해열제가 특정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인 열만을 낮춰주는 역할만 한다. 그래서 해열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아야 하며, 이를 통해 남용도 막을 수 있다.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아이들이 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이다. 발열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고 우리 몸의 중요한 방어 증상으로 무조건 열을 떨어뜨리는 것도 강제로 체온을 정상 범위에 올려놓는 것도 올바른 방법이 아닐 수 있다. 건강한 아이라면 보통 체온이 39도 미만의 발열이 있을 경우 별도의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해열제를 쓴다고 해서 열의 원인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아이의 상태가 좋은데 단지 정상 체온을 정상 범위로 낮추기 위해 해열제를 쓰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며 아이가 힘들어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을 때만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미온수로 목욕을 시키시는 분들도 계시다. 목욕의 경우 초반에 약간 빨리 체온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하는 체온조절중추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체온 감소 효과는 없다고 보면 되며, 오히려 아이가 불편해질 수 있다.

41도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만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일상적인 발열 상황에서는 해열제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높은 체온(39도 이상)이 아니라면 해열제는 최대한 자재 필요

만약 부모님들 중에서 열경련을 경험했던 기억이 있다면 아이의 체온에 매우 민감할 것이다. 이런 부모일수록 아이의 상태가 매우 호전적인데도 37~8도가 넘었다고 하여 바로 해열제를 주거나 평소 체온이 지속될 때까지 해열제를 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해진 용량과 간격도 지키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아이의 간이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일상적으로 과하게 해열제를 사용한다면 발생 원인(감염 등)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병만 키울 수 있다. 무엇보다 해열제를 사용한다고 하여 열경련을 예방하거나 멈출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혹시 아이가 열경련 중인데 열이 내리려는 목적으로 해열제를 먹인다면 오히려 해열제가 기도로 넘어가 크게 다칠 수 있다.

해열제로 떨어뜨릴 수 있는 온도는 1~1.5도 정도이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복용 후 몇 시간 뒤에 나타나는 효과이기에 열경련 같은 상황에서는 해열제 투여가 효과가 없다.

해열제를 먹이기 전 성분 확인은 필수!

해열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과 아세트아미노펜이 아닌 것으로 나뉜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아닌 것들을 NSAIDs라고 부르고 대표적으로 이부프로펜, 덱시부로펜이 있다. 반드시 여러 NSAIDs를 동시에 쓰면 안 되기 때문에 이중 한 가지 종류만 비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약품은 타이레놀, 세토펜, 챔프 등이 있으면 NASIDs 성분의 해열제는 챔프 이부펜, 부루펜, 캐롤, 맥시부펜 등이 있다. 비상약으로 해열제를 구비할 때는 두 종류 성분에서 각각 해당하는 한 가지씩을 준비하면 된다. 우리 가정의 경우 타이레놀과 맥시부펜을 준비한다.

아세트아미노펜과 NSAIDs 계열 진통제 모두 발열,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감소시켜 통증과 열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과는 달리 NSAIDs 계열 진통제의 경우 염증 증상도 가라앉힐 수 있는데 해열과 진통 효과와 중이염, 편도염 증상에 사용해도 좋다.

복용 전 복용간격을 엄격히 지킬 것!

앞서 이야기 한두 종류의 해열제의 경우 나이와 체중에 따라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양과 하루에 먹을 수 있는 총양이 모두 다르다.

통상 아세트아미노펜은 4시간 간격 NASIDs 계열 해열제의 경우 6시간 간격이다.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교차복용을 통해 해열 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 한 해열제를 사용했다면 4시간에서 6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이 힘드니 그 사이에 다른 종류의 해열제를 사용해 보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열 효과는 30분에서 1시간 정도 뒤에 나타나며 앞에 해열제를 쓰고 나면 2~3시간 후에 아이의 컨디션을 고려하여 나머지 종류의 해열제를 먹이는 개념이다.

구분효과부작용복용 가능 연령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에 효과적이며 30~1시간 내에 효과가 나타남효과 지속시간은 약 4시간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다량 복용 시 간 손상 유발4개월 이후부터 가능
NASIDs 계열 해열제해열, 진통, 소염에 효과적이며 1~2시간 내로 약효가 나타남 효과 지속은 약 6시간알레르기 증상, 위장 장애, 심장마비, 뇌졸중, 인후통 등 발생 위험6개월 ~1세 이후부터 가능

아세트아미노펜, NASIDs 계열 몸무게별 권장 용량

[아세트아미노펜] 복용량을 측정할 때는 몸무게를 기준으로 하되, 여의치 않다면 연령을 기준으로 한다. 24시간 이내에 5회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나이4~6개월7~23개월만 2~3세만 4~6세만 7~8세만 9~10세만 11세만 12세
몸무게(kg)7~7.98~11.915~15.916~22.923~29.930~37.938~42.943 이상
용량(ml)2.53.557.51012.51520


[덱시부르펜] 아세트 아미노펜과 마찬가지로 측정 시 몸무게를 기준으로 하되 1일 최대 4회(28mg/kg)을 넘겨서는 안 된다.

체중이 30kg 이하의 소아라면 1일 최대 25ml를 초과하지 않는다.

나이6~11개월12~23개월만 2~3세만 4~5세만 6~8세만 9~10세만 11세만 12세
몸무게(kg)7.9~9.910~11.912~15.916~20.921~29.930~37.938~42.943 이상
용량(ml)3~64~75~97~129~1715.5~2216~2518~25


ex) 1회 복용량 (mL)= [몸무게(kg) x(6~7mg/kg)]/12mg/mL

Similar Posts